2023년 5월 11일 목요일

인체 그리기 >> 전신 뼈 + 근육 명칭

  1. 인체 그리기 >> 전신 뼈 + 근육 명칭
  2. 인체 그리기 >> 몸 >> 가슴 + 등 + 어깨 뼈 근육
  3. 인체 그리기 >> 몸 >> 파워존 = 허리 + 엉덩이 + 허벅지 뼈 근육
  4. 인체 그리기 >> 머리 뼈 근육
  5. 인체 그리기 >> 팔 뼈 근육
  6. 인체 그리기 >> 다리 뼈 근육
  7. 인체 그리기 >> 손 뼈 근육
  8. 인체 그리기 >> 발 뼈 근육


그림 그릴 때 도움은 되지 않지만 어느 부위인지 지정하려면 명칭을 알아야 한다. 미술 책에도 정면, 후면, 측면 간단하게 나오지만 해부학 책이나 운동 책에 더 자세하게 나온다.

그림은 확대 가능하다.



그림이 흐릿해서 잘 모르겠지? 근육도 겉에 보이는 근육만 그린 것이기 때문에 뒤에 가려진 근육이 어떻게 뼈에 연결 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그런 건 해부학 사이트에서 입체적으로 관찰하면 될 거 같지만 거기에서도 잘 안 보인다. 해부학 사이트에선 다양한 자세가 안 나온다. 자세 변화도 없고, 안쪽 근육부터 순서대로 표시하는 기능도 없다. 그래서 부위마다 분해해서 자세한 그림이 나온다. 또한 자세도 좀 문제인데, 기본적으로 팔과 다리는 大자 모양으로 벌리고 있어야 근육이 잘 보인다.


한국어 근육 골격 명칭은 이걸 보면 되겠네. 같은 그림이었구나. 참고로 단어 뜻을 명확하게 하자.


근 (筋) 【명사】 ⦗생⦘ 힘줄. 근육.

筋 힘줄 근; ⽵-총12획; [jīn] 힘줄, 힘, 체력

건ː (腱) 【명사】 ⦗생⦘ 힘줄1.

腱 힘줄 밑동 건; ⾁-총13획; [jiàn] 힘줄 밑동, 큰 힘줄, 힘줄

 

힘―줄 [―쭐]  근육과 뼈를 붙여주는 걸로 보임

【명사】⦗생⦘ ① 근육의 밑바탕이 되는 희고 질긴 살의 줄. 건(腱). ③ 모든 물질의, 섬유로 이루어진 가는 줄. 심줄. 힘줄기.

 

인대 (靭帶)  관절을 붙여 주는 역할을 하는 걸로 보임

【명사】 ⦗생⦘ 관절을 튼튼하게 하고 그 운동을 제한하는 작용을 하는 결합 조직 섬유.

靭 길 인; ⾰-총12획; [rèn] 질기다, 부드러우면서도 탄력이 있어 잘 끊어지지 않다, 부드럽다, 韌과 同字

帶 띠 대; ⼱-총11획; [dài] 띠, 띠다, 띠를 두르다, 차다, 허리에 차다


근과 건의 차이는 잘 모르겠는데 근육 중에서 뼈에 붙는 가늘어지는 흰 부분을 건이라 하는 걸로 보임. 이건 인대와는 다른 걸로 취급하는데, 인대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함. 손에는 손가락을 움직이는 근육이 없고, 팔뚝에 그런 근육이 있고, 여기서 이어진 건이라고 하는 것만 손가락에 있음. 로봇으로 비유하면 와이어 같은 것임. 인대는 한자 뜻에서 알 수 있듯이 허리 띠처럼 뭔가 감싸는 것임.





이 그림은 측면까지 나오고 나름 자세도 취하고 있지만 여전히 잘 모르겠다. 예술적으로 명암 처리를 해서 그늘 진 곳의 어디를 지정한 것인지 알 수 없다. 뭔가 선명하게 설명하려고 그리는 그림은 이렇게 그리면 안 되는 것이다. 경계가 선명해야 한다.






만화 스타일의 선은 선명하니 좀 더 도움일 될 거 같아서 보니, 이건 너무 단순하게 그렸다. 만화에선 사실적으로 섬세하게 표현하는 게 불필요하니까. 남녀 근육의 차이는 없고 골격에서 엉덩이 크기, 어깨 넓이 차이만 있는데 굳이 남녀를 따로 그렸다. 뼈와 근육 구조에선 남녀 차이란 게 의미 없다. 정면, 측면, 후면, 팔 다리를 벌린 자세 정도만 있으면 된다.




판타지 일러스트 스타일로 그린 것은 선이 선명해서 알아 보기는 쉽다. 근육도 튀어나온 부위와 그늘 진 부위를 표시하기 위해서 약간의 명암 처리도 했네? 명칭은 잘 모르겠으나 근육의 경계와 층이 명확해서 좋다. 설명하는 그림은 이렇게 단순하게 그려야 한다.






근육 운동 서적에 나오는 상세한 해골 근육 명칭이다. 이건 명칭 익히는데 사용하자. 불필요할 정도로 상세한데, 나름 자세도 취하고 있고 잘 그렸으나, 근육 섬유까지 심하게 표현할 필요는 없는 거 같다. 근육과 근육의 경계가 보이지 않는다. 각 근육을 다른 색으로 칠했다면 더 알아 보기 쉬웠을 거 같다. 자세도 근육이 잘 보이는 자세가 아니다. 사람은 좌우 대칭이기 때문에 좌우가 같은 자세를 취할 필요는 없잖아? 팔 다리의 안쪽도 보여줘야 하지 않나? 

만족스러운 게 없네? 직접 그려? 그래서 부위 별로, 자세 별로 따로 그린 그림들이 다 있지. 여기 그림은 뼈와 근육의 명칭을 익히는 게 목적임.



2023년 5월 9일 화요일

인체 그리기 >> 발 뼈 근육

  1. 인체 그리기 >> 전신 뼈 + 근육 명칭
  2. 인체 그리기 >> 몸 >> 가슴 + 등 + 어깨 뼈 근육
  3. 인체 그리기 >> 몸 >> 파워존 = 허리 + 엉덩이 + 허벅지 뼈 근육
  4. 인체 그리기 >> 머리 뼈 근육
  5. 인체 그리기 >> 팔 뼈 근육
  6. 인체 그리기 >> 다리 뼈 근육
  7. 인체 그리기 >> 손 뼈 근육
  8. 인체 그리기 >> 발 뼈 근육


얼굴만큼 복잡한 게 발이다. 얼굴, 손, 발은 거의 몸통만큼 복잡하다. 발에는 많은 근육과 인대가 있는데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자세하게 알 필요는 없다. 인체 데생 책을 보면 해골이나 근육이 선명하게 그려져 있지 않아서 이해하기 힘들다. 그 이유는 뼈와 근육을 알아도 어차피 상상으론 못 그리고 모델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참고할 사진을 많이 가지고 있는 게 답이다. 그래도 사물의 구조를 알아야 제대로 그릴 수 있다. 이용한 사이트는 아래 링크이다.

https://www.zygotebody.com/

그림은 확대 가능하다.


엄지 손가락에 해당하는 엄지 발가락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동시에 길어져서 발처럼 되었다. 손가락에 해당하는 발가락은 점점 짧아졌다. 발등 쪽의 발가락 인대는 정강이에 연결 된다. 그래서 이 인대를 잡아 줄 발목을 감싸는 인대가 필요하다. 그런데 발바닥의 경우는 발가락 근육이 발바닥에 붙어 있기 때문에 발을 감싸는 인대가 필요한데 그런 건 없다. 엄지 발가락을 제외하고 나머지 발가락은 모두 하나의 인대에 연결 되어 있어 따로 움직이지 않고 동시에 움직인다. 발가락은 손가락처럼 움직일 수 없다.

손과 달리 인종에 따라 발의 모양이 좀 다양한데, 백인 중에 엄지 발가락이 짧고 두 번째 발가락이 긴 사람들이 있다. 또한 엄지 발가락과 두 번째 발가락 사이의 간격이 손처럼 벌어진 백인들이 있다. 원래 손 모양이었던 발이 현재의 발 모양으로 이동하고 있는 중간 형태이다. (진화가 덜 되었나? 백인들이 털도 많은 게 좀 그렇지?) 더운 지역 사람들의 발은 열 방출을 위해 발가락 사이가 벌어져 있다. 북방 지역 사람들의 발은 열 방출을 막기 위해 발가락이 모여 있다. 발은 북방 동양인 쪽이 가장 예쁘다.

다음은 해부 서적처럼 선명하게 잘 그린 미술 서적의 그림이다.




인체 그리기 >> 손 뼈 근육

  1. 인체 그리기 >> 전신 뼈 + 근육 명칭
  2. 인체 그리기 >> 몸 >> 가슴 + 등 + 어깨 뼈 근육
  3. 인체 그리기 >> 몸 >> 파워존 = 허리 + 엉덩이 + 허벅지 뼈 근육
  4. 인체 그리기 >> 머리 뼈 근육
  5. 인체 그리기 >> 팔 뼈 근육
  6. 인체 그리기 >> 다리 뼈 근육
  7. 인체 그리기 >> 손 뼈 근육
  8. 인체 그리기 >> 발 뼈 근육


얼굴만큼 복잡한 게 손이다. 얼굴, 손, 발은 거의 몸통만큼 복잡하다. 손에는 많은 근육과 인대가 있는데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자세하게 알 필요는 없다. 인체 데생 책을 보면 해골이나 근육이 선명하게 그려져 있지 않아서 이해하기 힘들다. 그 이유는 뼈와 근육을 알아도 어차피 상상으론 못 그리고 모델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참고할 사진을 많이 가지고 있는 게 답이다. 그래도 사물의 구조를 알아야 제대로 그릴 수 있다. 이용한 사이트는 아래 링크이다.

https://www.zygotebody.com/


근육과 인대를 속부터 붙이는 게 아니라 근육 체계, 인대 체계, 뼈 체계 이런 식으로 분류해서 순서가 섞여 있다. 손가락을 움직이는 근육은 팔뚝에 붙어 있다. 그래서 손가락 인대를 잡아 주는 손목 인대가 필요하다. 팔목 시계처럼 감고 있는 인대이다. 손은 겉의 주름이 더 많아서 골격이나 근육 인대는 자세하게 알 필요는 없다. 그냥 자기 손 보고 그리면 된다. 원숭이와 쥐의 경우 발도 손과 모양이 비슷하다. 물건을 잡을 수 있고, 나무에 매달릴 수 있다.

각 손가락은 3개의 관절이 자유롭게 움직인다. 이 말은 각 손가락 마다 등 쪽 1개, 배 쪽 3개의 인대와 근육이 필요하단 말이다. 각 손가락은 굴착기의 팔과 비슷하게 움직인다. 이 많은 인대들이 제자리에 있게 하기 위해선 손가락과 인대를 감싸며 잡아 줄 고리 형태 인대가 손가락 마디마다 필요하단 의미이다. 팔목 시계처럼 손가락 인대를 모아서 감고 있는 팔목 인대와 비슷한 역할이다. 위의 해부도에선 그런 것까지 상세하게 나온 것 같진 않다. 그리고 그런 섬세한 부분까지 알 필요도 없고 그림에선 중요하지도 않다. 손은 거의 몸만큼 복잡하다.

미술 서적 중에선 그림이 선명하고 해부 서적처럼 그린 것이다.




인체 그리기 >> 몸 >> 가슴 + 등 + 어깨 뼈 근육

  1. 인체 그리기 >> 전신 뼈 + 근육 명칭
  2. 인체 그리기 >> 몸 >> 가슴 + 등 + 어깨 뼈 근육
  3. 인체 그리기 >> 몸 >> 파워존 = 허리 + 엉덩이 + 허벅지 뼈 근육
  4. 인체 그리기 >> 머리 뼈 근육
  5. 인체 그리기 >> 팔 뼈 근육
  6. 인체 그리기 >> 다리 뼈 근육
  7. 인체 그리기 >> 손 뼈 근육
  8. 인체 그리기 >> 발 뼈 근육


인체 데생 책을 보면 해골이나 근육이 선명하게 그려져 있지 않아서 이해하기 힘들다. 그 이유는 뼈와 근육을 알아도 어차피 상상으론 못 그리고 모델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참고할 사진을 많이 가지고 있는 게 답이다. 그래도 사물의 내부 구조를 알아야 제대로 그릴 수 있다. 그래서 해부학 사이트를 참고해야 한다. 해골에 근육이 붙어가는 과정을 보면 모든 걸 이해할 수 있다. 이용한 사이트는 아래 링크이다.

https://www.zygotebody.com/

아래 사진은 확대 가능하다.


몸통 근육은 쇄골, 견갑골에서 골반까지 사이에 붙는 근육이다. 골반은 바구니 모양으로 내장과 아기를 받치고 있다. 척추 뼈는 단면이 十자 모양이다. 돌기 부분에 인대와 근육이 연결되어 척추를 바로 세운다. 척추의 안쪽(내장 쪽)은 돌기가 없는데 대신 강한 인대가 붙어 있고, 복부 근육이 있어 앞으로 굽히는 게 가능하다. 팔은 가슴 쪽 쇄골과 등 쪽 견갑골에 매달려 있다. 팔을 잡고 있는 게 견갑골과 쇄골이기 때문에 이 둘도 몸에 고정 되어 있어야 한다. 그래서 이 둘을 갈비뼈에 붙여 주는 근육도 있다. 

※ 받치다 = 돕다, 받히다 = 받다 피동 = 주로 충돌, 바치다 = 드리다




목, 어깨, 엉덩이, 팔꿈치, 무릎, 손목, 발목 등 관절 부위는 상하좌우 회전을 하고 축을 기준으로 회전(뒤틀기) 운동도 한다. 이렇게 하려면 근육이 X자로 꼬여 연결 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목을 보면 두개골 뒤에 연결된 근육이 쇄골 앞으로 연결 된다. 가슴 근육의 경우도 한 번 꼬여서 상박에 연결 되는데, 원래 우리가 4발로 기어 다녔던 동물이기 때문이다. 즉 팔은 상하로 움직이는 게 가장 적합하게 되어 있다. 물건을 들어 올리는 것보다는 매달리는 것에 더 적합하게 되어 있다.


어깨를 들어 올리는 삼각근을 제거하면 가슴 쪽의 대흉근이 한 번 꼬여 연결 되고, 등 쪽의 광배근(활배근)이 상박에 붙어 있어 마치 3개의 근육이 팔을 움직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런데 3개의 근육만 가지고는 팔 뒤틀기가 되지 않는다. 크게 보면 3개처럼 보이지만 X자로 교체하는 여러 근육들이 있어야 한다. 어깨 근육인 삼각근도 쇄골 가슴 쪽과 견갑골 등 쪽 2개로 갈라진다. 운동을 해 보면 어깨 근육이 따로 움직이는 걸 알 수 있다. 앞으로 밀 때와 뒤로 당길 때 힘이 들어가는 어깨 근육이 분리 되어 있다. 보디빌더의 어깨를 보면 등 쪽의 삼각근이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해부 사이트나 미술 책보다는 근육 운동 책에 더 자세한 설명이 나온다. 각 뼈와 근육 명칭은 해부 사이트에서도 지정을 하면 나오는데 영어라서... 근육 명칭은 대칭적이다. 大대가 있으면 小소도 있단 것이다. 上상이 있으면 下하도 있단 것이다. 外외가 있으면 內내도 있다.

대ː흉―근 (大胸筋)  【명사】⦗생⦘ 척추동물의 가슴에 있는 삼각형의 큰 근육《팔 운동이나 호흡 운동에 관계함. 조류에서 특히 발달함》. 
활배―근 (闊背筋)  【명사】⦗생⦘ 척추 양쪽에 있는 큰 힘줄. 

대ː원―근 (大圓筋)  【명사】⦗생⦘ 겨드랑이의 근육. 

삼각―근 (三角筋) [―끈]  【명사】⦗생⦘ 팔의 윗마디 뼈와 어깻죽지를 잇고 있는 삼각형의 근육《팔뚝을 위로 펴서 움직이게 하는 힘줄임》. 삼릉근(三稜筋). 
승모―근 (僧帽筋)  【명사】⦗생⦘ 등의 한가운데 선에서 시작하여, 다른 근육과 함께 어깨뼈의 운동을 맡은 삼각형의 근육.



어깨는 엉덩이보다 헐렁한 결합이라 유연하지만, 근육과 힘줄과 인대로만 결합되어 있어서 탈골이나 근육, 힘줄, 인대 손상이 쉽다. 특히 무거운 것을 들고 팔을 들어 올리는 동작에서 근육이나 힘줄이 관절 사이에 끼여 눌러져서 발생한다. 통증이 발생하면 심각한 것이다.






삼각근의 모양이 이상한데 방사형이라 그렇다. 근육은 紡錘방추형, 紡絲방사형 2가지가 있는데 방사형은 근섬유 무늬가 밧줄/실 모양으로 되어 있다. 방사는 실을 의미하고, 방추는 실을 감은 모양(중간이 볼록한 아몬드 형태)이다.










다이어트를 하면 관절, 근육, 힘줄 모두 약해진다고 한다. 가슴 운동 중에 가장 잘 망가지는 부위가 대흉근 위쪽 쇄골에 붙는 부위라고 한다. 빨리 수술을 받아 연결하지 않으면 회복 불가능이 된다고 하다. 그러니 지나치게 무거운 무게를 들지 않아야 한다. 보디 빌딩은 약물을 복용하면서 정상 근육의 2배(비정상적 근육)를 만들기 때문에 위험하다.



운동 기구 단어 간단하게 알아 보자.
bár·bèll n.  바벨《역도에 쓰는》. 역기力器.
dúmb·bèll n.  아령啞鈴; 《俗》 바보, 얼간이(dummy).

인클라인 (incline) 【명사】비탈진 곳에 레일을 깔고 동력으로 짐이나 선박 따위를 올리거나 내리는 장치. → 머리가 높은 쪽 경사 벤치

디클라인 (decline) n. 경사 → 머리가 낮은 쪽 경사 벤치

하이 풀리 : 높은 도르래 케이블

로우 풀리 : 낮은 도르래 케이블

 










다음 그림들은 미술 책 중에서 그래도 그림이 선명하며 뼈와 근육을 잘 설명해 준다. 아름답게 그리는 것과는 좀 거리가 있지만 해부학 서적처럼 잘 그렸다. 자세(굽힘/굴근 + 폄/신근 + 벌림/외전 + 좁힘/내전) x 다각도 관찰(정면 + 후면 + 외측면 + 내측면) 조합이면 모든 걸 설명할 수 있는데 좀 아쉽네.





다음은 가슴 부위





다음은 등 부위





다음은 어깨 겨드랑이 부위









뼈와 근육의 구조가 이렇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으로 끝이며, 실제론 다양한 자세, 다양한 각도, 다양한 조명에서 사진을 모아 두었다가 필요할 때 필요한 부위를 베끼면 된다.